사람은 미소가 필요합니다. 사실, 미소로 표현되는 행복은 아기가 느끼는 첫 번째 감정일 것입니다. 이에 반응하는 아기들의 미소는 학습보다 본능적입니다. 우리는 행복할 때 미소를 짓습니다. 이것은 신경계와 안면근육의 합작입니다. 우리는 입으로만 웃지 않고 눈으로 기쁨을 표현합니다. 그것이 진정한 미소의 특징입니다.
얼굴 전체에 환하게 빛나는 미소가 정말 아름답습니다. 그리고 그것은 내면을 가장 잘 드러냅니다. 하지만, 인생에서 항상 웃을 일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억지로 사진을 찍을 때도 있고, 때로는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을 만나야 할 때도 있습니다. 상사가 좋아하는 농담을 백 번 들으면 웃고 싶어도 웃음이 나오지 않습니다. 이럴 때 우리는 입을 벌리고 억지웃음을 짖습니다. 물론, 눈은 전혀 웃고 있지 않습니다. 할리우드 스타들이 시상식에 나오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. 레드카펫을 비추는 그 미소가 진짜인가요? 가짜일까요?
웃는 사람에게 시무룩한 표정을 짓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. 하지만, 우리가 받아들이는 미소의 종류에 따라, 우리가 반응하는 미소의 따뜻함도 변합니다.
진짜 미소라고 불리는 뒤셴 미소는 그 미소를 처음 묘사한 18세기 프랑스의 심리학자 기욤 뒤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. 이것은 입꼬리를 말리고, 눈을 빛내며, 눈가에 주름이 지는 미소입니다. 보톡스를 맞은 사람은 표정을 지을 수 없습니다. 이 때 사용하는 근육은 사람들이 마음대로 조절하기 어려워서 뒤셴 미소는 정말 행복한 느낌을 표현한다. 이 감정은 좌뇌가 활성화될 때 긍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냅니다. 이것은 아기가 엄마를 볼 때 짓는 미소입니다.
정반대의 미소는 팬 아메리카의 미소로, 승무원들의 억지 웃음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. 이 미소는 입 주변의 근육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. 이런 미소는 하위 영장류가 기분이 좋을 때 하는 표현이 아니라 놀라고 있을 때 짓는 표현과 관련이 있다. 이게 바로 가짜 미소입니디.
심리학자 대처 켈트너는 사람들에게 잠시 동안 뒤셴의 미소를 보여주면, 그들은 웃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. 물론 이 사람들은 전보다 더 안정되고 편안해졌습니다. UC 버클리 대학의 셀틱너와 리앤 하커는 1960년대 대학 졸업 앨범에서 소녀들의 미소를 분석했습니다. 앨범에 수록된 소녀들의 절반은 웃고 있었습니다. 이 소녀들은 27세, 43세, 52세에 다시 만나 그들의 결혼 상태와 삶의 만족도를 조사했습니다. 그 결과, 이 졸업생들이 웃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 대답을 가늠할 수 있었습니다. 뒤셴 미소를 가진 소녀들은 뛰어난 미인은 아니었지만, 30년이 지나도 그들은 여전히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고 있었습니다. 행복의 척도는 눈가의 주름이었습니다.
15,000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서, 77%의 여성이 직관력이 있다고 답한 반면, 58%의 남성은 직관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. 하지만 오히려,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가짜 미소에 더 잘 속습니다.
전반적으로 남성은 진정한 미소를 찾을 확률이 72%, 여성은 71%였습니다. 하지만, 이성의 가짜 미소를 찾는 정확도는 남성이 더 높았습니다. 남성은 미소를 정확하게 찾을 확률이 76%인 반면 여성은 67%에 불과했습니다.
미소는 친구를 사귀는 첫걸음이고 몇 마디 이상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. 몇몇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을 보고 웃는 사람들과 더 잘 대화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. 게다가, 미소는 여러분의 기분을 나아지게 하는 화학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여러분을 더 행복하게 만듭니다. 누군가가 당신에게 미소를 줄 때 어떤 기분인지 생각해 보세요.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전해보십시오.
안타깝게도, 말 그대로 웃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 받아들이기 힘든 많은 고통입니다. 얼굴 근육이 마비되는 증상인 뫼비우스 증후군이라는 질병 때문입니다. 이 증상으로 고통받는 사람은 얼굴로 어떤 긍정적인 감정도 표현할 수 없습니다. 다정한 목소리로 이야기하지만, 얼굴은 무표정합니다. 그래서 이런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친구를 사귀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.
웃음은 슬픔도 견뎌낸다 (0) | 2021.06.04 |
---|---|
행복을 부르는 기분 좋은 소리, 웃음 (0) | 2021.06.03 |
남을 도우면 행복해진다 (0) | 2021.06.02 |
공동체, 나와 세상을 이어주는 행복한 관계 (0) | 2021.06.02 |
일상에서 벗어나 행복한 휴가 즐기기2 (0) | 2021.06.02 |
댓글 영역